전인구 경제연구소 1/18 업로드 된 영상 <탕후루 옆 탕후루 가게, 상도덕이란 무엇인가?(ft.임상옥)>편을 시청하고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참고로 개인적인 의견은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탕후루 옆 탕후루 가게를 차린다는 유튜버, 논란의 중심이 되다.
최근 유투버가 탕후루 가게 옆에 탕후루를 차린다고 하여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 유튜버는 연예인들을 일일 아르바이트로 고용해 마케팅을 펼치겠다고 하였습니다. 유튜버는 우연히 대중의 사랑을 받아서 인기를 얻은 일반인이고, 받은 사랑을 다시 돌려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 네이버>
같은 유형의 가게를 바로 옆에 차리는 것을 막는 법은 없지만, 그래도 장사하는 사람간에는 지켜야 될 덕목을 가리켜 우리는 상도덕이라고 부릅니다. 장사하는 사람들은 생업이며, 여기서 번 돈으로 자녀 학비도 벌어야 되고 본인들 노후도 준비해야 되고 부모님도 도와드려야 합니다. 그런데 같은 업종이 바로 옆에 들어온다면 당연히 매출 감소로 이어질 것이 분명합니다.

한편 다른 의견으로는 탕후루 옆에 탕후루 가게를 차리는 게 금지된 것도 아니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카페 옆에 다른 카페가 들어서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카페는 많은 사람들을 더 불러 모을 수 있는 카페 거리가 생기기도 합니다. 탕후르는 사실 더 많은 수요를 끌어당기는 업종이 아니라, 동네를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매출이 전부입니다. 즉 탕후르를 먹기 위해서 다른 도시 또는 다른 지역에서 오는 업종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가게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매출 나눠먹기를 하는 것이지 더 큰 수요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닙니다.

<출처 : 예스24>
최인호 작가의 <상도>에는 상인이 가야 할 길을 보여준다.
최인호 작가의 <상도>라는 소설이 있습니다. 조선 후기 상인 임상옥은 상인이 가야 될 길을 보여줍니다. 청나라 상인들이 횡포를 부리니까 그 앞에서 인삼을 불태운 일화는 유명합니다. 임상옥은 신용을 되게 중요시 여겼습니다. 몇 번의 큰 위기가 있었는데 본인이 지켰던 신용덕분에 그 위기를 벗어나게 됩니다. 장사하는 사람이라면 꼭 이 책을 읽어봐야 한다고 합니다. 사업하는 사람도 꼭 읽어봐야 되고, 주식하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도에서 나오는 몇 가지 명언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재물에 있어서는 물처럼 공평하게 하라는 말을 합니다. 물은 어디에서나 평평함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게 순리라고 합니다. 그래서 돈도 평평함을 유지하려고 해야 합니다. 내가 더 많이 가지려고 위를 나누고 아래를 나누려고 하는 것 자체가 순리를 어긋나게 하는 일입니다. 욕심을 부려봤자 결국 순리를 어긋나는 일을 행동하게 되고 순리를 어긋나게 되면은 보통 결과가 좋지않습니다. 물을 손에 쥐려고 하면 나한테 남아 있는 물은 별로 없고 다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 그냥 내가 마실 만큼만 마시고 나머지는 흘려보내야 됩니다.

<출처 : 네이버 사전, 계영배>
그리고 가득찬 것을 경계하라고 합니다. 지금 보는 사진이 계영배라는 잔입니다. 이 잔은 7할 이상을 채우게 되면 밑구멍으로 술이 쏟아져버립니다. 그래서 잔에 술이 가득차는 것을 경계하게 만들어주는 잔입니다. 돈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권력을 탐합니다. 다 가지면 좋을 것 같은데 과하게 되면 결국 흘러넘치게 됩니다.
주식도, 투자도 욕심을 버리는게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주식을 고점에 팔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마음이 결국 주식 투자를 망치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그래서 전인구 소장은 고점에서 70% 정도라고 생각했을때 파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렇게 팔아야 다음 사람도 먹을게 있습니다. 서로서로 이익을 추구해야하며, 본인만 이익을 추구하고 남은 손실이 날 수 있는 가격을 떠넘기는 것은 상도에 어긋난다고 합니다.
주식할 때도 마찬가지였다고 합니다. 좋은 기업에만 투자하면 되는데 사람들이 그게 안된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나쁜 기업들이 수익이 많이 날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좋은 기업에 끝까지 투자를못하고 나쁜 기업에 손대다가 망가지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주식 투자는 굉장히 단순하고 좋은 기업만 평생 들고 가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 계영배(戒盈杯) – 넘침을 경계하는 잔
계영배는 고대 중국에서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하늘에 정성을 드리며 비밀리에 만들어졌던 ‘의기(儀器)’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자료에 의하면 공자(孔子)(BC551- BC479)가 제(齊)나라 환공(桓公 ?-BC643)의 사당을 찾았을 때 생전의 환공이 늘 곁에 두고 보면서 스스로의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사용했던 ‘의기’를 보았다고 한다.
이 의기에는 밑에 분명히 구멍이 뚫려 있는데도 불구하고 물이나 술을 어느 정도 부어도 전혀 새지 않다가 7할 이상 채우게 되면 밑구멍으로 쏟아져 버렸다. 환공은 이를 늘 곁에 두고 보는 그릇이라 하여 “유좌지기(有坐之器)”라 불렀고 공자도 이를 본받아 항상 곁에 두고 스스로를 가다듬으며 과욕과 지나침을 경계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계영배 – 가득 참을 경계하라 (다큐사이언스, 손성근, 국립과천과학관)